
서론지난 주에는 사이드 프로젝트에서 사용할 라이브러리를 선택하고 공부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제 본격적으로 프로젝트를 세팅하고 있는 중인데, Axios를 세팅하는 김에 블로그에 정리하며 깊이 있게 공부하면 좋을 것 같아 이렇게 글을 작성한다.Axios란?Axios는 node.js와 브라우저를 위한 Promise 기반 HTTP 클라이언트이다. HTTP 요청(GET, POST, PUT, DELETE 등)을 손쉽게 처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주로 RESTful API와 통신하기 위해 사용된다.쉽게 말하자면, 백엔드와 프론트엔드 간의 통신을 쉽게하기 위해 존재하는 라이브러리라고 할 수 있다.설치$ npm install axios // npm$ yarn add axios // yarnAxios의 주요 특징P..

최근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에서 초기 세팅할 때 yarn berry를 사용하기로 결정하였다. node_modules 디렉터리를 제거하고, 의존성을 의존성을 ZIP 파일 형태로 저장하며 성능을 대폭 향상 시켰다는 이야기를 듣고, 이번 프로젝트에서 적극적으로 도입해보기로 하였다. 기존에 npm과 yarn을 위주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차이점을 몸소 느낄 수 있는 좋은 기회라는 생각이 든다. 우선, 패키지 매니저에 대해서 간략하게 알아본 뒤에, yarn berry 설치를 위한 가이드를 끝으로 글을 마무리해보겠다.🤔 패키지 매니저란?패키지 매니저는 패키지를 다루는 작업을 편리하고 안전하게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툴이다.패키지 매니저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1. 패키지 설치 - 필요한 라이브러리를 지정된 저장..

Jotai에 대한 글을 쓰는 이유최근 사이드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면서 상태관리 라이브러리를 선정해야 하게 되었다. 정말 다양한 상태관리 라이브러리 중에 Jotai가 눈에 들어왔다. 프로젝트 규모를 생각했을 때 jotai가 괜찮을 거라는 생각이 들어 Jotai에 대해 알아보는 글을 작성해보고자 한다.상태(state)란?리액트에서 이벤트에 의해 변경되는 동적인 값웹 애플리케이션을 렌더링 하는 데 있어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값상태 관리 라이브러리의 필요성React에서 제공하는 기본적인 상태 관리 방식만으로는 복잡한 애플리케이션의 상태 관리를 완전히 해결하기 어렵다. 이러한 어려움으로부터 상태를 전역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1. 리렌더링 최적화상태 관리 라이브러리를..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