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ct/Next 개발자의 Spring Servlet 알아보기!
Intro.
한동안 취업을 위해 몇 군데 지원하고 다녔었다. 그런데 생각보다 Java 관련 역량을 묻는 회사가 굉장히 많았다. 실제로 한 기업의 코딩테스트는 Javascript로 언어 제한을 뒀는데, 객관식으로 Java 관련 지식을 요구로 하는 문제들이 수두룩히 나와 당황했던 기억도 있다. 나는 스스로를 돌이켜 보며 Java 관련한 지식이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었고, 앞으로의 계획에 있어서 프론트엔드 개발자로만 남아 있을 계획은 없어 점차적으로 Java 공부를 이어나갈 예정이다.
서론이 길었는데 평소 궁금했던 부분이자 자바 웹기술 역사의 태초에 가까운 Servlet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 놈의 이름은 많이 들어봤는데 도대체 뭐에 써먹는 놈일까? 한번 알아보도록 하자.
서블릿이란?
핵심만 말하자면 서블릿은 자바를 사용하여 웹 서버에서 동적으로 컨텐츠를 생성하고, 클라이언트에게 응답을 전송하는 기술이다!
웹을 만들때는 다양한 요청(Request)과 응답(Response)이 있기 마련이고 이 요청과 응답에는 규칙이 존재한다. 이러한 요청과 응답을 일일이 처리하려면 개발자 입장에서는 버거운 일이 될 것이다.
서블릿은 이러한 웹 요청과 응답의 흐름을 간단한 메서드 호출만으로 다룰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이다!
이제부터는 직접 HTTP 통신으로 오고가는 문자열을 파싱할 필요 없이, 서블릿을 사용함으로써 이제는 개발자가 온전히 비즈니스 로직에 집중할 수 있다.
스프링 부트에서는 HttpServlet클래스를 상속을 받아 사용하며, Servlet Container에 의해 실행된다.
doGet, doPost, doPut, doDelete 등의 메서드를 사용하여 요청을 처리하고, 스프링 부트에서는 어노테이션과 HttpServlet 상속을 이용하여 간단히 생성이 가능하다.
서블릿 컨테이너
서블릿 컨테이너는 서블릿들을 위한 상자의 개념으로, 서블릿들의 생성, 실행, 파괴를 담당한다.
서블릿 컨테이너는 구현되어 있는 servlet 클래스의 규칙에 맞게 서블릿은 관리해주며 클라이언트에서 요청을 하면 컨테이너는 HttpServletRequest, HttpServletResponse 두 객체를 생성하며 GET,POST여부에 따라 동적인 페이지를 생성하여 응답을 보낸다!
클라이언트의 요청(Request)을 받아주고 응답(Response)할 수 있게, 웹서버와 소켓으로 통신하며 대표적인 예시로는 톰캣이 있다고 한다.
서블릿 컨테이너 역할
1. 서블릿 컨테이너는 서블릿과 웹서버가 손쉽게 통신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원래라면 소켓을 만들고 listen, accept 등의 처리를 해야하지만 서블릿 컨테이너는 이러한 기능을 API로 제공하여 복잡한 과정을 생략할 수 있게 해준다! -> 그래서 개발자가 서블릿에 구현해야 할 비지니스 로직에 대해서만 초점을 둘 수 있음!
2. 서블릿이 생명을 다 한 순간에는 적절하게 Garbage Collection(가비지 컬렉션)을 진행하여 편의를 제공한다.
3. 서블릿 컨테이너를 사용하면 개발자는 보안에 관련된 내용을 서블릿 또는 자바 클래스에 구현해 놓지 않아도 된다.
일반적으로 보안관리는 XML 배포 서술자에 다가 기록하므로, 보안에 대해 수정할 일이 생겨도 자바 소스 코드를
수정하여 다시 컴파일 하지 않아도 보안관리가 가능하다!